본문 바로가기

자각각타(自覺覺他)

극기복례(克己復禮)

일관도 이념 : 극기복례(克己復禮)

극(克)은 이긴다는 것이요 기(己)는 나 라는 것이며 복례(復禮)는 예를 회복함이다.
2012년 SK그룹은 '안정 속 성장'을 택하며 '극기복례(克己復禮)'에서 경영의 지혜를 찾는다는 슬로건으로 경영 방침을 잡았습니다. 자기를 극복하고 예로 돌아간다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 하는걸까요?

-호두와 농부-

먼 옛날 신이 이 세상에서 인간과 함께 살던 시절이 있었다. 
하루는 호두 농사를 짓는 농부가 신을 찾아와 이렇게 부탁했다.

“저에게 일년만 날씨를 맡게 해주십시오. 
딱 일년 동안 내 뜻대로 날씨가 바뀌도록 해주십시오.”

농부가 하도 간곡히 사정하는 터라 
신은 그가 일 년 동안 날씨에 대한 모든 것을 조종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었다.

일년 동안 날씨는 농부의 마음대로 되었다.
그가 따사로운 햇볕을 원하면 햇볕이 내리쬐었고, 
시원하고 촉촉한 비를 원하면 비가 내렸다.
덜 여문 호두 알을 떨어뜨리는 바람도, 천둥도 없었다.

모든게 순조롭게 되어갔다. 
농부는 나무 그늘 아래에 누워 잠만 자면 되었다.
이윽고 가을이 찾아왔다. 
호두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대 풍년이었다.
농부는 기쁨에 들떠 산더미처럼 쌓인 호두 가운데 하나를 깨뜨려 보았다.
그런데 세상에, 알맹이가 하나도 없는 것이 아닌가?
농부는 털썩 주저앉고 말았다.

농부는 빈 껍데기 호두를 들고 신을 찾아가 어찌된 일이냐고 따졌다.
그러자 신은 빙그레 웃으면서 말했다.

“도전이 없는 것에는 알맹이가 들지 않는 법.
푹풍 같은 방해도 있고, 가뭄 같은 갈등도 있어야 
껍데기 속의 영혼이 깨어나 여무는 것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