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바라문에게 딸이 있었는데, 그 소녀는 열다섯의 앳된 나이로 양귀비꽃처럼 아름답고 총명한 데다 말을 거리낌 없이 잘하는 재주까지 갖추고 있었다. 그런데 소녀는 몹쓸 병에 걸려 치료도 제대로 받아 보지 못한 채 이내 죽고 말았다. 마치 잘 익은 보리가 들 불에 모조리 타 버린 것과 같았다.
아버지인 바라문은 자식의 갑작스런 죽음에 정신을 잃어 마치 미친 사람 같았다. 그러던 어느날, 그 바라문은 법을 설해 사람들을 근심을 잊게 하고 걱정을 덜어 주는 성인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그 성인을 찾아 갔다.
“ 저는 무남독년 외동딸 하나만을 빋고 사랑하면서 온갖 근심을 잊은 채 살아왔습니다. 그런데 그 애가 갑자기 몹쓸 병에 걸려 저를 버리고 떠났습니다. 그 애 일만 생각하면 가엾어 미칠 것 같습니다. 원컨대, 저를 굽어살피시고 깨우쳐서 이 근심의 매듭에서 풀려나게 해주십시오.
부처님은 바라문에게 말씀하셨다.
“이 세상에는 오래가지 못하는 네가지 일이 있소. 항상(영원)하거니 생각하는 것은 반드시 덧없어지고, 부귀는 반드시 가난하고 천해지며, 한번 만난 사람과는 반드시 헤어지고, 건강한 사람도 언젠가는 반드시 죽는다는 사실이오.”
그러고 나서 게송을 읊으셨다.
영원하다는 것 모두가 다 사라지고
높다는 것은 반드시 낮아지며
모인 것은 뿔뿔이 흩어지고
한번 태어난 것은 반드시 죽느니라
바라문은 이 게송을 듣고 곧 마음이 열려 근심과 슬픔의 매듭이 풀렸다. 그리고 머리와 수염을 깎고 부처님의 제자가 되어 덧없음(無常)을 꾸준히 생각하다가 아라한의 도를 얻었다.
무상품
만나지 말자 헤어지기 괴로우니, 태어나지 말자 죽기 괴로우니….
그러나 만나고 헤어지고 태어나고 죽는 것이 어찌 마음대로 할수 있는 일인가. 이러한 인간의 실존을 철저하게 깨달을수 있다면 크게 상처를 입을 것 같지 않다. 말로는 쉽지만 실제로는 역시 어려운 일이다. 사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일이니까. 아라한은 깨달은 성자이다. 그러므로 대접 받을 자격을 갖춘 이라는 뜻에서 응공(應供이라고도 한다. )
'인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엇이 가장 큰 괴로움인가 (0) | 2014.01.08 |
---|---|
[인연이야기] 대낮에 횟불을 들고 다니는 바라문 (0) | 2012.09.20 |
[인연이야기] 산이나 바다 어디에도 숨을 곳은 없다. (0) | 2012.08.20 |